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임성은의 정책과 혁신] 〈10〉지방분권하면 진짜 나라가 달라지나.jpg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前 서울기술연구원장

시도지사를 이미 선거로 뽑고 있는데 지방분권을 하자는 게 무슨 말인가? 지방분권이 왜 필요한가? 지방분권을 하면 무엇이 달라질까? 지방분권을 하려면 개헌까지 해야 하는가? 개헌이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현재 대한민국 정치권에서 논의되고 있는 핵심 쟁점들이다.

지방분권이 왜 필요한가? 가장 큰 이유는 현재의 방식으로는 지방이 발전은커녕 생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중앙정부는 그동안 지방을 살리겠다며 획일적인 균형 배분 정책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이 실효성이 없다는 것이 이미 증명되었다.

지역경제를 살리고 싶어도 지방에는 돈이 없다. 기업은 물론 지자체도 마찬가지다. 지방 예산의 70~80%를 교통, 복지 등등 항목을 하나하나 따져서 돈을 타 쓰고 있다. 중앙정부가 정한 정책을 지방세까지 보태어 집행해야 하는 구조다. 무엇보다 시도지사에게는 '경제'와 '교육'은 실질적인 권한이 없다. 헌법 때문이다. '주민의 복리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고 재산을 관리'하는 것이 헌법(117조 1항)이 지방자치단체에 부여한 업무다. 광역 경제권 같은 목표나 경제자유구역 지정 같은 것은 언감생심이다. 시작도 할 수 없지만, 세액이 큰 국세를 감면할 수 없어서다. 지방 명문고와 대학의 경쟁력이 떨어진 것도 이 탓이다. 교육감을 따로 선출하는 것도 문제이지만 대학입시나 특목고 정책을 대통령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대통령 뜻에 반하여 조례도 만들 수 없다. '법령의 범위 안에서 자치에 관한 규정을 제정할 수 있다(117조 1항)'고 헌법에 명시돼 있어서다. 개발제한구역을 풀려는 조례는 국토교통부의 시행령에, 전통시장을 보호하려고 대형마트의 영업시간을 제한하려는 조례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시행령에 제동이 걸리는 식이다. 지하철은 적자가 계속되어도 요금을 올릴 수 없고, 지원도 해주지 않는다.

어찌보면, 이러한 현상은 '지방자치단체'라는 명칭에서 시작된다. '단체(團體)'는 사전적으로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인 사람들의 일정한 조직체로 정의된다. 사회단체, 비영리단체처럼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는 성격을 띤다. 현재 지방정부는 필요한 경비의 70~80%를 국고 보조로 받고, 국가위임사무를 수행하는 성격을 고려한다면 적합한 명칭이기는 하다. 정부 기능을 수행하지만 자치정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름은 정체성을 반영한다. 김춘수 시인의 '꽃'이라는 시는 이를 잘 설명해 준다. '단체'의 명칭을 정부로 바꾸려면 개헌이 필요하다. 헌법에 명시된 용어이기 때문이다.

도지사(道知事)라는 직책은 더 기가 막힌다. 조선시대의 8도 관찰사가 도지사로 바뀐 것은 1919년 일제강점기 때다. 일본 직책을 의도적으로 바꾼 것인데, 그 어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불교에서 제사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을 일컫는 용어다. 지방자치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라는 명칭과 그 수장의 직책명을 동시에 교체하는 것이 첫 발걸음이다.

우리 헌법은 총 130개 조항으로 구성이 되어 있고, 이 중에서 지방자치와 관련한 조항은 2개뿐인데, 이것이 족쇄가 되고 있는 셈이다. 제헌 헌법 수준에서 시작한 조항에 일부만 개정하다가 어정쩡하게 지방자치를 시작하였고, 30년 동안 개헌을 하지 못해서다.

개헌이 가능한가? 개헌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국가의 미래가 달려있다. 시도지사가 대통령의 눈치를 보지 않고 지역에 맞는 정책을 펼칠 수 있어야 지방이 발전할 수 있다. 지금이 그 기회다.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前 서울기술연구원장

<원문출처>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50219000039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91438

서경대학교, ‘제75회 2024학년도 전기(2025년 2월) 학위수여식’ 개최 file

박사 20명, 석사 147명, 학사 1,111명 등 총 1,278명의 인재 배출 서경대학교는 2월 20일(목) 오전 11시 교내 문예관 문예홀에서 ‘제75회 2024학년도 전기(2025년 2월)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날 학위수여식을 통해 서경대...

서경대, 2025학년도 2기 박사후과정 수료 및 증서 수여식 개최 file

서경대학교는 2월14일(금) 오전 10시 교내 유담관 코워킹스페이스에서 2025학년도 2기 박사후과정 수료식을 갖고, 수료생들에게 박사후증서를 수여했다. 이날 수료식에는 구자억 혁신부총장 겸 국제융합대학원장, 김숙이, 이지나,...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칼럼: [임성은의 정책과 혁신] 〈10〉지방분권하면 진짜 나라가 달라지나? file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前 서울기술연구원장 시도지사를 이미 선거로 뽑고 있는데 지방분권을 하자는 게 무슨 말인가? 지방분권이 왜 필요한가? 지방분권을 하면 무엇이 달라질까? 지방분권을 하려면 개헌까지 해야 하...

서경대, 만족도 높은 ‘찾아가는 학교 컨설팅’ 추진 file

AI를 활용한 혁신적인 교사 연수로 학교 교육의 변화 이끌어 서경대학교는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하는 ‘찾아가는 학교 컨설팅 사업’의 운영기관으로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지역의 115개 학교를 대상...

서경대학교, 금천구청과 함께 국내 최초 뮤지컬 <영웅> 스쿨에디션으로 종합문화예술교육 실시 file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센터장 최은정)가 금천구(구청장 유성훈)에서 실시하는 ‘금천 청소년 뮤지컬 프로젝트’ 운영기관에 선정되어 금천구 청소년을 대상으로 대학과 지역이 함께하는 종합문화예술교육을 펼치고 있다. 서경대학교...

박재항 서경대 광고홍보영상학과 교수 칼럼: [박재항의 소소한 통찰] 슈퍼볼 광고에서 한국 기업이 사라진 까닭 file

광고 단가 치솟았지만 효과 입증 어려워 과감한 투자 꺼리는 건 아닌지 걱정돼 박재항 서경대 광보홍보영상학과 교수 미국 프로 아메리칸풋볼리그(NFL) 결승전인 슈퍼볼 중계에 광고를 집행하길 소망했다. 삼성전자가 주요 광고...

환경부, 환경 특성화대학원 7곳에서 화학물질 안전관리 전문가 양성 file

김완섭 환경부 장관이 아제르바이잔 바쿠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9) 회의장에서 환경부-UNFCCC 사무국 주관 '개도국 투명성 교육 부대행사'에 참석해 환영사를 하고 있다. 환경부는 화학물질안전원과 한국환경보전원 등과...

신간『부자들의 성공심리학』, 슈퍼리치들의 심리를 탐구해 성공의 비밀을 찾다 file

억만장자들의 사고방식과 행동 패턴을 분석한 성공 지침서 부와 성공을 동시에 이룬 사람들의 공통된 심리와 전략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이들을 위한 실천적 조언 신간 『부자들의 성공심리학』(이정규 지음, 힘찬북스) 오늘날 ...

김광석 서경대 물류유통학과 교수 칼럼: [항동에서] 영종, 항공특화도시로 전환이 성장 동력 file

▲김광석 서경대학교 물류유통학과 특임교수 정부는 지난 2021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항공 MRO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통해 “정비 품질향상으로 항공 안전을 보다 강화”한다고 밝혔다. 국내 항공사의 해외 정비 비중...

서경대학교 부설 디자인연구소, ‘인공지능과 예술교육의 미래’ 주제로 ‘2025 디자인 학습윤리 글로벌 컨퍼런스(ICDLE 2025)’ 개최 file

2025년 2월 21일(금) 오후 1시, 유튜브 실시간 한국어·영어 동시 생중계  서경대학교 부설 디자인연구소(소장 김지인)는 2월 21일(금) 오후 1시 ‘인공지능과 예술교육의 미래’라는 주제로 ‘2025 디자인 학습윤리 글로벌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