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제로성장의 위기로 한국경제가 추락하고 있다. 원인이 한국인과 기업의 ‘창의력 부재’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AI시대 최고의 투자로 주식, 부동산, 코인이 아닌 손실위험이 없고 자존감과 행복을 높일 수 있는 ‘창의력에 투자’하라고 제안한다. 김세직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의 ‘어웨이킹(Awaking)‘이다.

저자는 우리나라가 1990년 이후 매 5년마다 성장률이 정권에 관계없이 1% 씩 하락하고 있는 이유를 ‘창의력 부재’에서 찾고 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한국과 선진국은 20년간의 기술격차가 있어 특허가 만료된 기술을 마음껏 베껴 성장할 수 있었다. 하지만 1990년대부터는 그 격차가 20년 미만이 되면서 더 이상 베낄 것이 없어졌다는 것이다. 창의적인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 이외에는 성장할 방법이 없어졌기 때문에 성장률이 하락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지금 세계 경제를 움직이는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M7이라고 불리는 시가총액 세계 최고 기업들은 기술의 핵심이 ‘창의적 아이디어’ 즉 기술 기업이라는 공통점이다.

이 시대 최고의 가치를 갖는 생산요소도 노동ㆍ기계ㆍ자본도 아닌, 창의적 아이디어나 창의적 아이디어를 생각해내는 능력인 창의력이라는 것이다.

다이슨의 혁신적인 제품 중에서 ‘날개 없는 선풍기’가 대표적이다. 1882년 전기를 이용한 선풍기를 발명한 이래로 선풍기 날개는 당연한 상식이었다. 127년에 만인 2009년 날개 없는 선풍기라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상식이 깨진 것이다.

특히 저자는 심각한 저출산 문제의 근원 원인을 ‘5년 1% 하락의 법칙’으로 인한 제로 성장에서 찾고 있다. 국가의 장기성장률이 증가하면 국민소득도 따라서 증가하지만 경제성장률이 0%대에 머물면 국민소득도 제자리를 머물게 된다. 물가는 오르는데 소득이 제자리라면 올라가는 아파트 가격을 따라갈 수 없다. 결국 결혼해서 서울에 아파트하나 장만해서 단란한 가정을 꾸리는 청년의 꿈은 포기할 수 밖 에 없는 것이다. 저성장이 저결혼을 낳고 저결혼이 저출산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과거 정부는 경제 성장을 위해 총수요 부양만 지속적으로 시행하면서 커다란 부작용만 키웠다. 특히 2014년 이후 실시된 한국은행의 경기부양정책은 장기경제성장률은 회복시키지 못하고 부동산 가격 폭등만 불러왔다. 부동산 폭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이 한국은행 저금리 정책이다. 2014년 이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 이하로 하락시키자. 2021년까지 서울 아파트 가격은 무려 2.5배 폭등했다. 예를 들어 4억짜리 아파트면 7년 만에 10억이 된 것이다.

이제 누구나 점점 먹고살기가 어려운 시대다. 치열하게 모방형 지식을 공부해서 스펙을 쌓은 2030세대들이 일하기를 포기하고 집에 머문다는 이야기가 흔하다. AI의 등장으로 10년 넘게 학교 공부에 투자한 시간과 노력의 대가가 전혀 보장되지 않는 시대에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인간이 시도할 수 있는 최고의 투자, 어떤 방식으로 투자해도 수익이 마이너스가 나지 않는 창의력에에 투자해야 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주입식, 모방식 교육을 받아온 대부분의 직장인들과 서울대 경제학과 학생들에게 20년 동안 창의력을 가르치며 터득한 창의력을 성장시키는 ‘창의력을 깨우는 7가지 방법’을 한국의 성장엔진으로 제시하고 있다.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 칼럼AI시대 최고의 수익률, ‘창의력’에 투자하라.jpg
전규열 뉴시안 공동대표이사

<원문출처>
뉴시안 https://www.newsi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305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97146

[신춘 인터뷰] "무한한 콘텐츠의 보물 창고, 향교·서원은 '참어른을 만드는 학교'다" file

'문화관광콘텐츠와 향교 서원' 출간한 방미영 서경대학교 교수 자신이 쓴 책 '문화관광콘텐츠와 향교·서원'을 펼치고 있는 방미영 서경대학교 교수. 지난 2019년 7월 6일, 한국의 서원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도...

서경대신문 583호 file

서경대학교, ‘7개 대학 연합 2024 대학혁신지원사업 우수사례 성과포럼’ 개최 file

학생 전공 선택권 및 자율성 강화 등 포럼 참여 대학 교육혁신 노하우 공유  서경대학교는 1월 23일(목) 건국대학교 학생회관 2층 프라임홀에서 건국대학교, 명지대학교, 서원대학교, 세명대학교, 세종대학교, 전주대학교와...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동계방학 ChatGPT 활용 업무 자동화 교육’ 성황리 마무리 file

최신 AI 기술로 취업역량 강화 목적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본부장 허성민 교수)는 2025년 1월 20일(월)부터 24일(금)까지 5일간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재학생 및 졸업생, 지역 청년을 대상으로 AI 도구 활...

박원주 서경대 금융정보공학과 교수 칼럼: [투자, 제대로 알고 하자] 투자, 감이 아니라 시스템이다 file

2023년 7월, ‘2차전지’ 관련 주식 열풍이 정점에 달했던 시기, 20대 청년 김민수(가명) 씨는 2차전지 관련 주식 5종목에 자신의 전 재산인 천만 원을 투자했다. 투자에 대한 지식도 경험도 없었지만, 한 종목 몰빵투자보다 여...

서경대학교 ‘2025년 제2회 크래커(CRECA: Creative+Culture+Arts) 강사교육/보수교육’ 실시 file

1월 18일(토) 서경대학교 유담관 Ace Space서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센터장 최은정) 바삭바삭랩에서는 1월 18일(토) 서경대학교 유담관 Ace Space에서 ‘2025년 제2회 크래커(CRECA: Creative+Culture+Arts) 강사교육/보수...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 늘봄학교 대학 연계 프로그램 강사교육(심화) 실시 file

1월 18일(토) 서경대학교 유담관 Co-Working Space서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센터장 최은정) 바삭바삭랩에서는 1월 18일(토) 늘봄학교 대학 연계 프로그램으로 심화단계 강사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강사교육은 서울시교육청과 ...

나는 어떤 장학금을 받을 수 있을까? - 다양한 장학금 안내 file

동계방학이 끝나고 3월이 되면 2025년 새 학기가 시작된다. 하지만 새 학기를 준비하면서 등록금 납부가 적지 않은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 이럴 때 장학금을 적극 활용하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장학금은 대학생들의...

“특별재난지역 선포 유무? 유가족 지원에 영향 미치지 않아”

‘재난이 끝나도 재해는 남는다’라는 신간 책 제목을 보고 지난해 12월 29일 있었던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떠올랐다. 2022년 10월 29일 발생했던 이태원 참사와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도 이어서 생각났다. 대규모 ...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숏폼 콘텐츠 공모전’ 성황리에 개최 ···‘대상’ 수상 ‘요정 조심’팀(광고홍보영상학과 24학번 이예나, 김나우, 이하람 학우) 인터뷰 file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가 주최한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숏폼 콘텐츠 공모전’이 많은 학우들의 관심과 참여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숏폼 컨텐츠 제작을 장려하기 위해 마련된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