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기수 교수의 성공투자 법칙⑳] 경제요인과 주식투자의 활용.png


<지난 호에 이어서> 


만약에 여러분에게 목돈이 생겼다고 해보자. 이 돈으로 무엇을 할까 고민하다가 주식에 한번 투자해볼까? 라는 결정을 했다고 하면 가장 먼저 무엇을 할 것인가? 증권회사에 위탁계좌는 이미 개설해 놓고 스마트폰에 MTS도 다운로드 받아서 종목을 고르고 매수버튼만 누르면 된다고 했을 때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 할까? 물론 종목을 고르는 것인데 어떤 자료를 보고 어떤 업종에서 어떤 종목을 고를 것인가?


주식투자 뛰어들기 전에 무엇을 해야 할까?


이러한 과정 즉, 주식투자에 대해서 흔히 얘기하는 ‘출동준비’가 되어 있는 예비 투자자가 많지는 않은 것 같다. 이유는 평소에 전혀 주식투자에 대해서 기본적인 체력이나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투자할 돈이 없지 종목이 없습니까?’라고 반문을 할 수 있겠지만 코스피와 코스닥의 2,670여개의 종목 중에서 고르는 것인데 많다고 아무 종목이나 덥석 매수를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렇다면 평소에 ‘출동준비’를 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우리가 헬스클럽이나 운동을 시작할 때 가장 많이 강조하는 부분이 ‘유산소 운동’을 하라고 한다. 경직되어 있는 근육도 풀고 본 운동을 하기 전 몸을 풀기 위해서인데 주식투자의 ‘유산소 운동’은 바로 ‘국내외 경제’ 이해하기와 흐름 파악하기다. 그 흐름에는 금리의 흐름, 환율의 흐름, 대체적인 원자재 가격의 흐름 등 투자에 필요한 다양한 흐름이 있다.


국내외 경제 흐름 읽기


주식투자의 첫걸음은 ‘경제알기’로 이는 하향식(Top-down) 분석이라고도 한다.


말 그대로 위에서 아래로 관점을 옮겨가면서 투자를 준비하는 것인데 우선 해외경제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국내경제, 관심 산업, 종목 고르기 식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워낙 국가별 정치나 경제 뉴스와 상황이 실시간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우리는 미국대통령이나 연준 의장, 중국의 시진핑 주석, 영국 총리의 인터뷰기사를 챙겨봐야 하고 미국의 발표되는 물가지수나 고용에 대한 통계를 살펴봐야 한다.


‘하향식(Top-down) 분석’ 방법의 순서에는 우선 일반적 경제의 시장요소 등의 현재 흐름이나 방향을 예측하고, 그 결과에 따라 경제 환경이 어떻게 바뀌고 영향은 어떻게 얼마나 받고 그러한 변화 속에 어떤 산업이나 업종이 호황을 누리게 되고 실적이 올라가고 이익이 늘어나는지 파악하고, 그 안에서 가장 수혜를 받을 기업이 어디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하향식 분석의 반대는 ‘상향식(Bottom-up) 분석’이다.


상향식 분석은 말 그대로 하향식 분석의 반대로 하면 된다. 우선 개별 기업의 사업분야나 재무, 투자가치, 개인이나 외국인 투자자들의 선호도를 살펴보고 그 기업이 속한 산업이나 업종을 확인하고 지금까지 확인한 사항에 영향을 줄 국내외 경제상황을 살펴보는 방식으로 투자를 결정하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산을 보지 말고 나무를 봐라’의 격언처럼 투자가치 종목만 확인하고 투자하는 개별 종목 투자의 시대라면 앞으로는 ETF(상장지수펀드)의 등장으로 코스피나 코스닥 시장전체 혹은 2차 전지나 자동차, 은행 업종 등 개별 업종에 대한 투자도 많이 활성화되어 있어서 투자의 폭은 훨씬 넓어졌다고 보면 된다. 대신 그만큼 개인투자자들의 선택이 어려워지고 공부를 해야 하는 분량도 많아졌음이다.


따라서 평소에 유산소 운동하듯 숨을 쉬듯이 투자에 관심을 갖고 국내외 경제와 다양한 업종별 동향, 전망에 대한 기사나 뉴스, 리포트 등에 관심을 갖고 읽어보는 자세가 중요하겠다.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



[서기수 교수의 성공투자 법칙⑳] 경제요인과 주식투자의 활용 (2).jpg

[프로필] 서기수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 교수

(현)한국금융연수원 겸임교수

(현)서울시민대학 사회경제분야 자문교수

(전)한미은행, 한국씨티은행 재테크팀장


<원문출처>

조세금융신문 https://www.tfmedia.co.kr/news/article.html?no=173983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97779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정기공연 ‘SKU PRO:JECT PART.4’ 성황리에 개최돼 file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이 주최하는 2024년 2학기 정기공연 ‘SKU PRO:JECT PART.4’가 11월 12일(금) 오후 7시 교내 문예관 1층 문예홀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날 행사는 1. 코레오마카세, 2. Snowho ...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한국무용전공) 주최, ‘제22회 졸업작품발표회 및 제24회 정기공연’ 성황리에 열려 file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학부장 전순희 교수)가 주최하는 ‘제22회 졸업작품발표회 및 제24회 정기공연’이 11월 20일(수) 오후 7시 교내 문예관 1층 문예홀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날 행사는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공학과 교수 칼럼: [서기수 교수의 성공투자 법칙⑳] 경제요인과 주식투자의 활용 file

<지난 호에 이어서> 만약에 여러분에게 목돈이 생겼다고 해보자. 이 돈으로 무엇을 할까 고민하다가 주식에 한번 투자해볼까? 라는 결정을 했다고 하면 가장 먼저 무엇을 할 것인가? 증권회사에 위탁계좌는 이미 개설해 놓...

서경대학교 헤어디자인학과 이·미용 봉사동아리 ‘아르케’ SBS-TV ‘모닝 와이드’ 출연 file

‘아르케’ 팀장 정현광(왼쪽), 팀원 박서연(오른쪽) 서경대학교 헤어디자인학과 이·미용 봉사동아리 ‘아르케’(지도교수 진용미, 팀장 정현광)가 지난 12월 9일(월), SBS-TV의 아침 시사·교양 프로그램인 ‘모닝 와이드’ 3부에 ...

서경대학교 헤어디자인학과 이·미용 봉사동아리 ‘아르케’ 정현광 팀장,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상 개인 표창 수상 file

서경대학교 헤어디자인학과 이·미용 봉사동아리 ‘아르케’(지도교수 진용미)의 정현장 팀장이 농림축산식품부 주최, 한국농어촌공사 주관으로 지난 12월 4일(수)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9회 대한민국 농촌재능나눔 대상 시...

서울시 성북구, 대학교 기획봉사 프로젝트 ‘청년이 만드는 성북’ 활동공유회 개최 file

서울 성북구가 2일 성북구자원봉사센터에서 대학교 기획봉사 프로젝트에 참여한 20여 명의 학생들과 함께 성북구 대학교 기획봉사 프로젝트 ‘청년이 만드는 성북’ 활동공유회를 개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성북구 특성에 맞는 대...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SKU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수기 공모전’ 개최 file

진솔한 취업준비 경험 나누고, 동기부여 UP!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본부장 허성민 교수)는 본교 재학생, 졸업생, 지역청년들을 대상으로 ‘SKU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수기 공모전’을 개최한다. 이번 공...

[2025 정시특집/서경대학교] 첨단 학과 및 전공·국책사업 통해 미래 혁신형 실용인재 양성 file

스포츠앤테크놀로지학과, 파이낸스앤테크전공 등 첨단학과 주목 대학·기업 협력형 SW 아카데미 사업 선정… 취업위한 실무 경험 제공 혁신지원사업 통해 드론 기자재 확보 사이버드론봇 융합전공 운영 서경대 본관 전경. 서경대학...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숏폼 콘텐츠 공모전‘ 개최 file

2024년 11월 18일(월)~2025년 1월 5일(일), 다양하고 독창적인 숏폼 콘텐츠 발굴 기대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본부장 허성민 교수)는 2024년 11월 18일부터 2025년 1월 5일까지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

제5기 ‘2024 뷰티 비즈니스 아카데미’ 수료식, 전문가 135명 배출 file

서울시가 주최하고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책임연구원 신세영교수)과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이 주관한 ‘2024 서울 뷰티 비즈니스 아카데미’ 5기 수료식이 지난 12월 6일(금) 오후 2시 서울시청 서소문청사 후생동강당에서 성황리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