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임성은의 정책과 혁신] 〈2〉교육평가 방식을 '평가'하자.jpg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대학입시를 위한 수능 이원화와 절대평가 도입, 내신 평가 외부 참여 등을 도입한다는 보도가 있었다. 확정은 아니라고 했지만 검토 중인 것은 확실하다.

이 논란에 참전하는 방법은 검토의 목적이 무엇인가, 제도개선의 목표를 어떻게 설정하는가 하는 점이다. 제도 개선 방안을 논의하기에 앞서 기존 교육 제도의 가성비를 평가하는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 무엇이 문제인지 알아야 대안과 개선 방향을 확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입시 제도 평가 방식을 '평가'할 것을 제안한다. 지금까지의 입시제도는 큰 맹점을 품고 있다. 교육 평가가 교육 내용과 수업 방법을 지배하는 역류현상(Backwash Effect)이 그것이다. 좋은 점수를 받으려면 대충 이런 기조의 교육을 진행하게 된다. ▷단순 암기를 요하는 사지선다형의 문제 ▷시험 종료와 동시에 기억력이 모두 리셋 되는 순간 집중형 학습방법 ▷변별력이라는 이름의 서열화 ▷'실수 안 하기'를 목표로 하는 공부 방법 등이다. 평가 제도의 틀에 공부하는 방식을 유치원부터 욱여넣는 게 현행 대한민국 입시제도의 현주소다. 꼬리가 몸통을 흔드는 격이다.

새로운 평가제도는 창의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정책의 목표에 부합할 수 있도록 재설계됐으면 한다. 이게 시급한 이유는 차고 넘친다.

우선 교육 지출 비용을 살펴보자. 공교육과 사교육 모두 지출 규모면에서 세계 정상급이다.공교육은 초등학교에서 대학까지 1인당 1억3000만원 이상을 사용하고 있다. 보육까지 합하면 1억5000만원이 넘는다.

혹자는 '나는 그런 돈 받은 적이 없는데'라고 할 수 있으나 교사들의 인건비와 학교 개설 유지 관리 비용을 따지면 그렇다. 종합반 학원비로 계산해도 월 100만원, 연 1200만원, 16년이면 이 비용을 능가한다. 2024년 기준으로 교육 예산은 대략 국비에서 100조원. 지자체가 지방비로 조달하는 16조원을 합하면 116조원 수준이다. 사교육비는 공식적으로 집계하기조차 어렵지만 대략 1년에 26조원 안팎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저출산의 한 원인으로까지 지목되고 있다.

이렇게 엄청난 재원을 쏟아넣지만 그 효과는 미미하다. 이른바 명문대라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진학 인원은 1만명으로 정해져 있다. 공교육이든, 사교육이든 아무리 많은 돈을 투여해도 30만~40만명 중 소수만이 이 문턱을 넘을 뿐이다.

세계 속의 대한민국은 수학, 과학, 문학 분야 창의력에서는 취약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예컨대 영어 독해와 청취는 강한데 말하기와 글쓰기는 안 된다. 외국인과 소통되지 않는 고학력자들이 양산된다. 수학 문제의 답을 찾지만 어떻게 풀었는지 설명은 못하는 경우는 비일비재하다.

논리적 사고나 문제해결 능력 제고는 사라지고 공식을 딸딸 외는 암기 천재가 높은 점수를 받는 왜곡된 교육 시스템이 낳은 후유증이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시점이다. 평가제도를 선진화하는 방안을 도출하자.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원본출처>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40821000154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97821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GTQ 그래픽기술자격 1급 과정 운영 file

8월 26일(월)부터 30일(금)까지 5일간 20시간 교육과정으로 운영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는 8월 26일(월)부터 30일(금)까지 5일간 총 20시간에 걸쳐 서경대학교 구성원 및 지역청년들을 대상으로 GTQ 그래...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기고:[임성은의 정책과 혁신] 〈2〉교육평가 방식을 '평가'하자 file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대학입시를 위한 수능 이원화와 절대평가 도입, 내신 평가 외부 참여 등을 도입한다는 보도가 있었다. 확정은 아니라고 했지만 검토 중인 것은 확실하다. 이 논란에 참전하는 방법은 검토의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장에 정웅석 서경대 교수 file

국무총리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NRC)는 22일 제17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장으로 정웅석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를 선임했다. 정 신임 원장은 대검찰청 검찰개혁추진위원회 위원, 법무부 책임수사시스템 정비 협의회 정책위원, ...

서경대학교, 2024학년도 1기 박사후과정 수료식 개최 file

8월 20일(화) 오전 10시 30분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서 수료생 6명에게 박사후증서 수여, 현재 외국 학생 30명 박사후과정 재학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는 8월 20일(화) 오전 10시 30분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2024...

서경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2024 Global CORE 프로젝트’ 운영 안내 file

서경대학교 학생들의 사회적 가치 실현 및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2024 Global CORE 프로젝트’를 9월부터 12월까지 총 4개월간 진행한다. 이번 ‘2024 Global CORE 프로젝트’의 주제는 <SDGs에 따라 사회적 가치를...

취업 걱정 덜고, 4차 산업혁명 선도하고 file

2025학년도 계약학과 및 첨단학과 전형 계약학과, 취업 보장에 장학금 혜택 학생부 위주 준비했다면 지원해볼만 졸업후 일정기간 근무조건 고려해야 AI·빅데이터 등 첨단학과 미래 유망 지난 7월21일 서울 광진구 세종대에서...

[2O25수시-서경대] 채용하고픈 인재-성공창업자 배출의 서경대, “실용과 끼를 버무리다” file

서경대, 대학-지자체중심 캠퍼스타운 생태계 조성 서경대(총장 김범준)는 정부 및 공공기관, 지자체와 교류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다양한 산업분야와 파트너십 을 구축해 미래신산업 대응 전문지식 인재양성사업, 지역산업 맞춤형 인...

서경대학교, 다양한 국고사업 선정… 새로운 교수학습법 개발도 file

서경대 전경_유담관.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는 정부와 지자체 등이 주관하는 재정지원사업에 다수 선정되면서 대학가에 이목을 끌고 있다. △대학혁신지원사업 △국가근로장학 취업연계 중점대학 사업 △주요국가학생초청연수사업 ...

2024 하계방학, 서경대학교 학술정보관 인기 대출도서 ‘BEST 10’ file

서경대학교 유담관 건물에 자리한 학술정보관은 국내외 다양한 유형의 학술정보자료를 수집, 정리, 보존하여 교수와 학생들의 연구 및 교육 활동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 가운데 7층에 있는 인문·예술과학 정보자료실과...

재일동포 초등생 '한국어 캠프' 종료…역사 배우며 정체성 함양 file

재일동포 차세대 서울서 '한국어 집중캠프' 재외동포협력센터는 지난 4일부터 9박10일 일정으로 재일동포 차세대를 대상으로 '한국어 집중캠프'를 개최했다. 사진은 12일 서경대에서 열린 수료식. 재외동포청 산하기관인 재외동...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