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1.jpg


“모친께서는 멋진 인생을 사셨습니다. 아프시지도 않고 평온하게 가셨어요.”

올 8월 13일, 화가 이중섭(1916∼1956)의 아내 야마모토 마사코(山本方子·1921∼2022) 여사가 향년 101세(한국 나이 102세)로 별세했다. 그의 둘째 아들 야스나리(泰成) 씨는 나에게 전화로 이처럼 그녀의 인생과 가시는 모습을 전했다.

한국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는 국민화가 이중섭의 그림에는 힘찬 소, 은박지나 엽서에 꽃게와 물고기와 노는 아이들, 그리고 사랑하는 부부의 모습이 담겨 있다. 그 그림 속의 여인이 바로 아내 마사코다. 이중섭은 그녀를 ‘이남덕(李南德)’이란 한국식 이름으로 부르며 무척 사랑했다.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2.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두 사람은 일제강점기인 1939년, 일본 도쿄 소재 문화학원(文化學院)에서 선후배로 만나 깊은 사랑에 빠졌다. 1943년 이중섭이 귀국하자 마사코는 광복 직전 현해탄을 건너 그의 고향 원산에서 결혼했다. 두 아들을 두며 평온하게 지낸 것도 잠시였다. 6·25전쟁이 터지자 부산과 제주도로 계속 거처를 옮기며 지냈다. 결국 1952년 마사코는 친정아버지의 사망과 가난을 이유로 두 아들을 데리고 일본으로 귀국했다. 그다음 해 이중섭은 일주일간 일본에 가 가족들과 함께 지내기도 했지만, 그 후 만나지 못하고 1956년 서울에서 4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이중섭과 마사코의 결혼생활은 10년, 그중 같이 살았던 기간은 7년. 마사코는 어린 두 아들을 가진 채 35세에 과부가 됐다. 양재를 직업으로 삼았고, 생명보험 회사에 근무한 적도 있으며, 환갑의 나이에 도쿄 긴자(銀座)의 기독교용품점에서 일을 시작해 80세까지 근무하며 지냈다.

나는 언제부턴가 이중섭 그림을 좋아했다. 1989년 대학원에 다니며, 그곳에서 친해진 친구의 아버지인 나전 작가 이성운 선생이 경남 욕지도에서 이중섭과 같이 그림을 그리며 지냈다는 이야기를 듣고 더욱 그를 가깝게 느끼게 됐다. 그리고 부인 마사코에게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2016년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최된 전시 ‘이중섭, 백년의 신화’에서다. 이 전시에서 가족과 일본어로 주고받은 꽤 많은 엽서가 공개됐다. “내가 사랑하는…”, “내가 아주 좋아하는…”, “나의 착한…” 등으로 시작하는 편지(엽서)글들에는 가족에 대한 사랑이 그득했다. 나는 이때 마사코 여사가 살아계신 것을 알았다. 어떻게 살아오셨을까? 여러 가지를 여쭙고 싶었다.


“아버지가 열정적이었다면 어머니는 심지가 곧고 차분한 분이셨어요. 낯도 좀 가리셨고요. 말 안 듣는 아들에게 큰소리 한번 치신 적이 없었어요. 아마도 아버지와 어머니 두 분이 서로 상반된 성격이라 오히려 끌렸던 것 같아요.”

이런 마사코 여사가 크게 상처를 받은 일이 있다고 한다. 1979년 한국에서 본 연극 ‘화가 이중섭’에서 마사코가 남편을 버리고 일본에 귀국한 것처럼 묘사되어 있고, 특히 가족을 찾은 이중섭을 장모가 냉대했다는 부분이다. 마사코의 부모님은 기독교인으로 두 사람 사이를 반대하기는커녕 한국에 갈 때 그녀를 응원하고 지지해 줬고, 사위가 가족들을 만나기 위해 일본에 올 수 있도록 애써 주신 분이었다. 이 오류의 시작은 원작인 1973년에 발간된 고은 작가의 소설 ‘이중섭 그 예술과 생애’이다.

야스나리 씨가 어머니를 그리며 가장 생각나는 것 중 하나가 ‘김치’라고 했다. 마사코 여사는 원산에서 시어머니에게 김치 담그는 법을 배워 늘 저녁 식탁에 김치를 올렸다고 한다. 야스나리 씨는 “나는 어머니의 김치로 자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추억했다.

“아버지 작품 중에서 제일 좋아하는 것은 ‘흰소’입니다. 일본에서 한 번도 아버지 작품 전시를 하지 못했는데, 일본에서 아버님의 작품전을 하는 것이 제 꿈입니다. 사실 아버지에 대한 기억은 1953년 일본에 일주일 오셨을 때 안겼던 희미한 기억이 전부입니다. 그래도 슬프다고 느낀 적이 없어요.”(야스나리 씨)

주옥같은 작품들을 남기고 요절한 이중섭, 평생토록 그 한 사람만을 사랑하고 그리워하며 홀로 헌신적 삶을 산 마사코. 가족을 사랑했고 아꼈던 두 사람의 사랑을 떠올리며 마사코 여사의 명복을 빌어 본다.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1006/115840370/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97824

서경대학교 디자인학부 비주얼디자인전공 과동아리 ‘보이드(VOID), ’2024 VOID 하계 전시회‘ 개최 file

서경대학교 디자인학부 비주얼디자인전공 과동아리 ‘보이드(VOID)’의 2024년 하계 전시회가 9월 3일(화)부터 9월 13일(금)일까지 13일간 서경대 유담관 학술정보관 9층에서 개최됐다. 전시회 주제는 [夢유영]으로 무한한 꿈의...

[빌드업 코리아] 김동원 영진위원 “K도약, 탄탄한 토양이 먼저” [창간55] file

김동원 영진위 위원이 19일 오후 서울 중구 순화동 KG타워에서 진행된 일간스포츠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지식재산권(IP) 보호를 통해 얻은 극대화된 수익이 다양한 산업과 연결돼 도움을 줄 수 있는 환경...

서경대학교, 건국대학교 · 세종대학교와 3개 대학 연합 인사동 홍보 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 개최 file

지역사회 활성화 및 문화예술 인력 양성, 대학의 사회기여 역할 확대 도출 왼쪽부터 ‘대상(종로구청장상)’, ‘우수상(종로구의회의장상)’, ‘장려상(인사전통문화보존회장상)’ 수상자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대학혁신추진사업단(단...

서경대학교 ‘아나바다 운동’ 바자회 성황리에 열려 file

제52대 ‘한숲’ 총학생회 주최로 9월 3일부터 5일까지 3일간 교내 청운관 1층서 전공서적 등 130여 권 판매, 391,100원 수익 나, 길음종합사회복지관에 기부 예정 서경대학교 제52대 ‘한숲’ 총학생회는 지난 9월 3일부터...

2024 서경대학교 청야체전 개막제, ‘日就月將:일취월장’ 주제로 성황리에 열려 file

제52대 한숲 총학생회 주최로 9월 23일(월) 교내 스콘 스퀘어 등에서, 각종 이벤트, 푸드트럭, 플리마켓, 동아리, 소모임, 학부 공연 이어져  2024 서경대학교 청야체전 개막제가 ‘日就月將:일취월장’이라는 주제로 9월 23...

서경대학교, 동문과 함께하는 진로취업박람회 ‘2024 SKU JOB FIESTA’ 성황리에 개최 file

9월 24일(화) 교내 유담관 로비서, 대기업 및 공기업 등 우수기업 현직 동문 초청 직무 멘토링 및 취업정보 제공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는 고용노동부 하반기 집중 취업지원 기간에 맞춰 9월 24일(화) 오전 10시부터 오후 5...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막 내리는 대한극장, 사라지지 않는 잔상 [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한국 영화를 상징하며 서울 충무로를 대표하는 영화관, 대한극장이 66년 역사의 막을 내린다. 대한극장이 문을 닫는다는 소식을 이제 알았다. 아쉬워하는 사람들이 많을 텐데, 나도 그중 한 사람이다. 황급히 찾아갔지만 이미...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게이미피케이션 – 진로 방탈출 프로그램’ 운영 file

체험형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흥미 UP!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는 9월 20일(금)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4시간 동안 교내 유담관 L층 Co-working space에서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체험형 비교과 프로그램인 ...

서경대학교, 「2024년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수도권)」 기획사업 ‘찾아오는 인생부스’로 시민과 함께하는 멘토링 체험부스 운영 file

제1회 인문문화축제(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관) 통해 인생나눔교실 예비 참여자 발굴 및 인문가치 확산 도모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문화예술센터(센터장 최은정)는 가을을 맞아 9월 20일부터 22일까지 3일...

[서경대 MFS] 송금에 특화된 미국의 은행 “Western Union” file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