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은 바람과 빛을 합친 말이다. 1600여 년 전, 중국 동진(東晉) 시대에 처음 사용됐다. 가장 널리 알려진 의미는 풍광(風光)이다. 남송(南宋)시대 편찬된 세설신어(世說新語) 언어(言語)편에 보인다. “장강(長江)을 건너는 이들아, 풍광은 옛날과 다르지 않구나. 다만 산하를 통치하는 자가 달라졌을 뿐(過江諸人, 風景不殊, 正自有山河之異!)”. 나라를 빼앗긴 울분을 토로한 말이다.
풍채(風采) 혹은 풍도(風度)라는 뜻도 있다. 진서(晉書) 유의(劉毅)편에 “선비들이 풍도를 중시하도록 이끌어서 마을 전체가 맑아졌다(故能令義士 宗其風景 州閭歸其淸流)”라고 유의를 상찬했다. 정경(情景)이란 의미도 있다. 2009년 중국에서 상영된 『아들딸 영웅전(兒女英雄傳)』이란 드라마 23회에 “보아하니 집안 분위기가 여전하구만(看了看家中風景依然)”이란 대사가 나온다.
풍경은 영어의 랜드스케이프(Land scape)와는 격이 다른 말이다. 랜드스케이프의 본래 의미는 토지 소유권이다. 서양인에게 풍경은 물적 대상일 뿐이다. 건축가 승효상은 이를 두고 “마치 장사치와 선승(禪僧)이 쓰는 언어의 차이처럼 보인다”고 표현했다. 풍경은 냉랭하지 않다. 자연과 환경만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살아 움직이는 사람과 자연의 복합체다. 인간의 감정, 그리고 집단의 문화가 녹아 있다. 이를 한자 문화권에선 ‘인문경관’(人文京觀), 서양에선 ‘문화풍경(Culture Landscape)’이라고 부른다. “풍경이 가지는 아름다움의 본질은 인간이 존재함으로써 완성된다(J.B. 잭슨)”는 말이 가능한 이유다.
판문점 도보다리에서 완성된 감동적인 풍경이 태평양을 사이에 두고서는 살풍경(殺風景)으로 변하는가 싶더니, 극적으로 훈풍이 되살아났다. 북한을 물리적 상대로, 혹은 이용해야 할 자원으로만 본다면 그건 ‘랜드스케이프’, 즉 장사치 수준에 머무는 일이다. 북한을 살아 숨쉬는 풍경으로 대할 때 비로소 마음이 오가고, 마음이 오가야 신뢰도 쌓을 수 있다. 협상은 그 다음에야 가능한 일이다.
진세근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원문출처>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22699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