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 사람들 인터뷰: 차성만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중어 전공) - 교내 유담관 분수대 앞 ‘선돌’ 기증 ··· “작업을 하는 순간엔 해피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 같습니다.”
조회 수 7633 추천 수 0 2017.09.14 11:53:19차성만 교수는 본교 개교 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지난 7월 서경대학교 유담관 분수대 앞에 있는 돌조각 작품을 기증했다. 총 3개 작품이 설치되었고 작품명은 각각 ‘수수꽃다리 1504’, ‘설중매 1701’, ‘송엽국 1411’ 등으로 전부 꽃 이름을 땄다.
서경대 유담관 앞에 설치된 차성만 교수의 선돌 작품. 왼쪽부터 송엽국 1411, 설중매 1701, 수수꽃다리 1504
이 작품들은 대리석을 돌을 쌓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대리석 소품을 출품했던 차성만 교수의 첫 개인전 작품이 망치와 정으로 돌을 깎고 쪼는 방식이었다면, 이번 출품작은 돌을 쌓는 방식이다.
주재료는 일정한 두께로 가공되어 기성품으로 생산된 건축자재용 화강암 판석이다. 차성만 교수는 사각형 판석을 다양한 크기로 재단하고 다듬고 쌓아서 형상을 만들었다고 했다. 인체의 곡선에서 모티브를 가져온 이 작품들은 높이가 1.6~2미터로 실제 사람의 키 높이와 비슷하다. 무엇보다 이 작품들은 보는 방향과 각도에 따라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는 점이 큰 매력이다.
차성만 교수는 작품을 조각하는 데 몰입하면서, 온갖 모양과 색향의 꽃들보다 더욱 아름다운 인체의 가치를 추구했다. 인체의 조형미를 작품 소재인 돌 속에 투영시킨 것이다. 차성만 교수는 인체의 조형미를 최고의 아름다움으로 보았다. 작품의 이름이 전부 꽃 이름인 이유는 꽃보다 더 아름다운 인체에 중심을 두었기 때문이다. 꽃 이름을 빌어 진정한 아름다움인 ‘인체의 미’를 강조한 것이다. 또한 작품들은 "이상을 향한 웅비"를 담고 있어, 서경대학교 학생들이 원대한 이상을 품고 자신의 숭고한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길 바라는 마음을 나타내기 위함이라고 했다.
차성만 교수는 이같은 작품 활동을 하면서 2016년부터 꾸준히 자신의 개인 전시회를 열었다. 올해는 7월 19일부터 25일 까지 일주일간 인사동 코사 스페이스에서 ‘선돌축제 2017’란 이름으로 전시회를 진행했다.
차성만 교수는 고등학교 졸업 후, 철학과나 건축과에 진학하고 싶었지만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해 정치외교학과에 진학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건축에 대한 애정과 미련을 버리지 않았다. 인간이 만든 가장 완벽한 인공물인 건축에 대한 생각을 떨쳐 버릴 수 가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관심과 애정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돌조각 작업에서부터 전시까지 구현되었다고 말했다.
첫 작품에서 전시회를 열기까지, 차성만 교수는 자신의 내면에 응집되어 있었던 열정을 하나하나 풀어내는 오랜 과정을 겪었다. 13년 전, 홍대 앞에서 조각전문 입시미술학원을 운영하고 있었던 조각가를 찾아가 다짜고짜 조각을 배우고 싶다고 말했다. 먼 길을 돌아가더라도 기초부터 차근차근 배우겠다는 생각과 의지로 긴 시간을 열정과 투지, 끈기로 불 살랐고 작업실에서 끊임없는 고뇌와 창작의 시간을 보냄으로써 작품 하나하나가 탄생되고 전시회로 이어질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차성만 교수는 작업을 하면서 ‘해피 바이러스’에 감염된다고 말했다. 이것이 그동안 지속적으로 열정을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라고 했다. 비록 육체적으로는 힘들지만 돌을 직접 깎고 다듬는 과정과 이를 통해 정신적으로 만족감을 생성시키고 높여가는 작업이 자신이 추구하고 원하는 진정한 행복이자 삶의 자세라고 차성만 교수는 강조했다.
차성만 교수는 또, “자신의 돌조각 작품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라고 말했다. 다양한 방식과 형태로 구현된 차성만 교수의 인체 돌조각 시리즈는 ‘돌새김’이라는 또 다른 방식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차 교수는 말했다.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성실한 삶의 태도와 끊임없는 도전으로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감동과 공감을 자아내도록 하는 작품을 만드는 예술가가 되는 게 차 교수의 소망이다. <홍보실=장겨울 학생기자>
<원문 출처>
홍익그라픽스 효범 조각전:선돌축제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