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주 서경대 도시공학과 교수 서울시 도시재생 정책관련 인터뷰 : “도시정책 대부분 5~6년짜리 치적 쌓기...장기 계획 세워야”
조회 수 13182 추천 수 0 2017.08.29 14:27:08“단기성과를 보여주는 데 치우친 측면이 있다.” 이승주(54·사진) 서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서울시 도시재생 정책에 대해 이같이 진단했다. 그는 “관 주도의 도시재생에서 민간과 마을 주민이 모두 참여하는 지속 가능한 재생 사업으로의 전환을 고민할 때다”고 말했다. 다음은 이 교수와의 인터뷰다.
이승주 서경대 도시공학과 교수
“재건축 vs 재생, 지역 특성 고려하고 마을 주민 참여하는 지속사업 필요”
Q.서울시 도시재생 사업 4년의 성과를 평가하자면.
응답 :“아직 갈 길이 멀다. 재건축처럼 건물 하나 짓고 끝날 일이 아니기 때문에 긴 숨에 익숙해져야 한다. 서울시 주요 도시재생 지역 계획을 보면 대부분 5~6년짜리 사업이다. 행정가들이 빨리 결과를 보이겠다는 생각으로 매달리기 때문에 이런 계획이 나온다. 그런 태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도시재생이 바른 길로 가기 어렵다.”
Q.해외 사례는 어떤가.
응답 :“‘서울로7017’은 2016년 1월 서울역고가 철거 공사를 시작한지 17개월 만에 완공됐다. 뉴욕 하이라인파크의 경우 방치된 고가 철도를 도심 녹지로 조성하는데 12년이 걸렸다.”
Q.재건축에서 ‘재생’ 방식으로의 변화 자체는 바람직한가.
응답 :“동네의 역사성을 보존한다는 방향은 옳다. 창신·숭인동의 경우가 특히 그렇다. 산업화 시대 봉제공장, 일제 시대의 채석장 등 특별한 공간이 많이 있다. 하지만 모든 지역이 창신·숭인동과 같지는 않다. 아예 헐고 새로 지어야 하는 지역이 있을 수 있다. 잘 구분해야 한다.”
Q.창신·숭인동은 올해 말로 재생 사업이 종료된다. 어떻게 해야 지속이 가능할까.
응답 :“관에서 주던 돈을 끊으면 마을이 제대로 돌아가기 어렵다. 해외에서는 재생 설계 단계 때 시민단체 주도로 운동이 벌어지고 민간에서 펀딩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아직 그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관 주도인데다 실적 쌓기 위해 밀어붙이는 경향도 여전하다. 주민들 스스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해야 한다. 마을 기업을 만들 수도 있고, 상인들이 모여 마을 특성을 살린 자체 콘텐트를 팔수도 있다. 공공자금만 투입한 뒤 사업을 끝내면 기반이 허약해 버틸 수 없다.”
Q.꼭 고쳐야 할 점은.
응답 :“도시재생이 무엇인지를 시민들에게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 마을을 살리고 공동체를 부활시키려면 시간을 갖고 꾸준히 인식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
<원문 출처>